Synology 3

[NAS] 시놀로지 ssh 도커 컨테이너 접근, 폴더 매핑 / 내가 자주 쓰는 명령어

ssh putty를 통한 접속과 기본적인 명령어도커 컨테이너 볼륨과 NAS 폴더 매핑 기능에 대해 다룬다.CMDssh synology-id@domain -p port도메인이 없다면 ip도메인: test.synology.me아이디: id123포트: 22ssh id123@test.synology.me -p 22 PUTTY진입로그인 후 sudo -i를 통해 관리자 권한을 가져온다시놀로지는 보통 기본적으로 root 계정 자체는 비활성화시켜 놓기 때문에일반 사용자로 로그인 후 관리자 권한을 가져오는 것.root로 변경되면 완료. DOCKER이제 도커에 접근하려면docker exec -it [container_name] /bin/shdocker: 도커 호출exec: 현재 실행 중인 도커에 다음 명령을 실행-it: ..

Side-Project 2024.10.18

[NAS] 2024 시놀로지 nas 활용 - 포트포워딩, DSM 외부 접속

시놀로지 DSM에 접속한 모습 (Disk Station Manager)로컬에서만 사용할 수 도 있지만,상태 확인, 또는 기본 기능들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포트 포워딩을 통한 외부 접속은 필수다. 포트 포워딩Quick Connect 사용하면 되지 않나? 싶지만퀵커넥트는 포트를 통한 다이렉트 연결이 아니라,시놀로지 측 서버에 한번 경유된 DSM을 조작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느리다.( 시놀로지에서 화면 공유 해준거라 생각하면 편함 )기본적으로 NAS에서 DSM으로 가는 내부 포트는 5000, 5001이다.저기서 설정된 포트를 통해 외부에서 DSM으로 연결되는데,이 포트 그대로 쓰면 보안에 취약하기 때문에 바꾸는 걸 권장한다.포트포워딩은 KT 인터넷 기준으로 http://172.30.1.254/ 가 공유기 어드민..

Side-Project 2024.10.04

[NAS] 2024 시놀로지 nas 활용 - DS224+ 설치, 램 증설

최근 NAS에 관심이 생겨 시놀로지 224+ 모델을 구입했다.클라우드 백업 용도도 있지만도커를 올려 장난감 ? 으로 쓰는 것도 고려했기 때문에 램도 증설하기로 마음먹었다. 설치개인적으로 첫 부팅 전에 램을 넣는 게 나을 것 같아서 부팅 전에 램을 꽂았다. HDD 2번 슬롯을 제거하면 램 연결부가 바로 보이는데,넣을 땐 사선으로 넣고 다 들어가면 아래로 눌러서 장착시킨다.처음 넣을 때 각도를 잘 조절하다 보면 부드럽게 들어가는 각도가 나온다호환되는 램은 여러 가지 말이 많지만찾아보니 2666v의 노트북 용 램이 가장 성공률이 높다고 한다.나는 삼성 16GB 램으로 증설했다 (삼성전자 노트북용 DDR4 16GB PC4-2666V 21300)실제로 구매한 쿠팡 링크 (https://link.coupang.co..

Side-Project 2024.09.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