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de-Project

[NAS] 2024 시놀로지 nas 활용 - 포트포워딩, DSM 외부 접속

냐옹멍멍 2024. 10. 4. 11:14
반응형

시놀로지 DSM에 접속한 모습 (Disk Station Manager)

로컬에서만 사용할 수 도 있지만,
상태 확인, 또는 기본 기능들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포트 포워딩을 통한 외부 접속은 필수다.

 

포트 포워딩

Quick Connect 사용하면 되지 않나? 싶지만
퀵커넥트는 포트를 통한 다이렉트 연결이 아니라,
시놀로지 측 서버에 한번 경유된 DSM을 조작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느리다.
( 시놀로지에서 화면 공유 해준거라 생각하면 편함 )

DSM > 제어판 > 외부 엑세스 > 고급

기본적으로 NAS에서 DSM으로 가는 내부 포트는 5000, 5001이다.
저기서 설정된 포트를 통해 외부에서 DSM으로 연결되는데,
이 포트 그대로 쓰면 보안에 취약하기 때문에 바꾸는 걸 권장한다.

포트포워딩은 KT 인터넷 기준으로 http://172.30.1.254/ 가 공유기 어드민 페이지인데,
이건 인터넷 제공자 마다 다르기 때문에 찾아봐야 한다.

kt 공유기 페이지

외부 포트 : 내부 포트와 연결할 외부 포트 ( 외부 접속 시 외부 포트를 통해 연결됨 ex. 5000 ~ 5001 )
내부 IP 주소 : NAS의 내부  IP
내부 포트 : NAS에 열린 내부 포트 ( 위 NAS에서 설정한 대로 )
프로토콜 : TCP

이렇게만 입력하면 된다.

만약 외부 14001 포트와 내부 5001 포트를 열었다면
외부에서 123.123.456.456:14001 접속 시
위에 설정한 NAS의 https 5001 포트로 연결되어 DSM에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외부 내부를 다르게 하는 경우도 있지만, 나는 헷갈려서 대부분 통일시킨다.


DDNS

외부 접속을 ip로 직접 하는 건 싫으니 DDNS를 설정해 보자.

DSM > 제어판 > 외부 엑세스 > DDNS > 추가

서비스 공급자 : synology ( 외부 업체에서 구매한 도메인이 없다면 )
호스트 이름 : DDNS로 사용할 이름 ( dev123으로 한 경우 dev123.synology.me 같은 주소로 접속 가능 )
사용자 이름/이메일 : 시놀로지 계정
패스워드 : 시놀로지 계정

확인 후 편집해 보면

이렇게 뒤에 붙일 무료 도메인을 정할 수 있다.
DDNS와 포트포워딩 과정에서
i234.me를 고르고 5001 포트를 열었다면,
https://호스트이름. i234.me:5001로 외부 접속을 하면 된다.

반응형